티스토리 뷰

반응형

4대보험 계산기 사용방법




구직활동 중 그리고 취직 후 가장 궁금해 하는사항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4대보험 일텐데요 직장에 다닌다면 무조건 들어야할 필수 보험이며 간단하게 세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건데 내 월급에서 얼마나 나가는지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4대보험이 포함된 월급을 세전, 빠진 후 월급을 세후라고 표현하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미리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대보험 계산기를 사용한다면 아주 간편하게 알아 볼 수 있습니다.



꼭 취직 뿐만아니라 알바할때도 중요한 4대보험이며 들지 않고 일을 하다 다치면 본인 돈으로 치료를 해야한다는점 참고하시고 알바 구할때도 꼭 물어보고 하시는게 좋습니다. 간혹 4대보험을 들지 않으면 그만큼 돈을 주겠다는곳이 있지만 돈이 들더라도 꼭 해달라고 하시길 바래요.

4대보험에는 4가지가 있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4가지가 있구요 각각 계산을 하고 합하면 됩니다.

계산기를 활용하면이렇게 각각 메뉴가 존재하며 2016년 기준이라고 표시 되어있고 모의계산이라 실제와 차이가 있다고 안내 하고 있으니 참고용으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총액=기준소득월액 X 9%(연금보험율) 이라고 국민연금 계산법 안내를 해주고 있네요.

건강보험 파트로 넘어 왔고 빨간 네모 안에 4가지 메뉴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월급여를 200만원을 넣고 계산을 누른후 각각 계산이 자동으로 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근로자 부담액 사업주 부담액 두가지가 보이며 합쳐서 총액이 나가는걸 알 수 있습니다. 지금은 이렇게 두가지만 알아봤지만 나머지 2가지 메뉴인 고용보험,산재보험 메뉴도 이용하여 근로자 부담액을 합산 해서 대략 어느정도 4대보험비가 발생하는지 알아보시길 바라며 오늘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반응형